학점은행제
학점은행제는 열린 교육사회, 평생학습사회를 구현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개인사정 등에 의하여 고등교육의 기회를 놓친 사람들이 정규 대학교에 다니지 않고도 학교나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을
학점으로 인정받아 전문학사 또는 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한 제도로, 학점은행제를 이용할 수 있는 대상은 고등학교 졸업자나 동등 이상의 학력을 가진 자이다. 다양한 형태의 학습을 학점으로 인정하고, 이것이 누적되어 일정 기준을
충족시키면 학위 취득이 가능하다.
학점취득은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학원, 직업훈련기관 등 평가인정된 교육훈련기관에서 학습과목을 이수하거나, 대학에서 시간제로 등록하여 학습과목을
이수, 자격증 취득, 독학사의 각 단계별 시험 합격 등을 통해서 한다. 이를 통해 학점을 인정받아
학점은행제의 표준교육과정에 의하여 일정학점 이상을 취득하면 대학 또는 전문대학 졸업학력인정과 함께 학위를 받을 수 있다. 학사 140점, 전문학사 3년제 120점, 2년제 80학점을 이수해야 학력이 인정된다. 학위수여는 교육부장관이 수여하는 방식과 대학ㆍ전문대학의 장이 수여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으며, 각각 한국교육개발원 또는 대학ㆍ전문대학에 학위신청을 해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학점은행제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